한국어교육의 시간표현요소로서 문법적 기술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3 08:22
본문
Download : 한국어교육의 시간표현요소로서 문법적 기술방법.hwp
. 문법이라는 개념(槪念) 속에는 언어에 내재된 질서와 체계가 포함된다 어휘를 분류하는 품사론이나 구성 요소의 문장 안에서의 역할을 규정하는 통사론이 모두 언어의 질서와 체계에 관한 것이다. up한국어교육의시간표현요소로서문법적기술방법 , 한국어교육의 시간표현요소로서 문법적 기술방법인문사회레포트 ,






다. 그러므로 문법 기술은 문법 형태 하나 하나의 용법과 의미를 풀어놓은 것으로 간주된다 의미적으로 명시적인 어휘 항목과는 달리 문법 형태들의 의미는 때로 모호할 뿐만 아니라 그 기능이 복잡할 때가 많으므로 문법 형태 개개의 기능과 의미를 기술하는 데 더 많은 공을 들여야 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현재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들은 문법 형태들이 가진 질서와 체계를 잘 보여주지 못한다. 다른 여느 언어와 마찬가지로 한국어에는 다양한 시간 표현 형태들이 있다아 이 형태들이 시간 표현이라는 범주 안에서 나름대로의 체계를 가지고 기술된다면 학습자들이 한국어 시간 표현 형태들을 학습하고 이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언어의 질서와 체계가 제2언어 교수와 학습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면 이 분야의 문법 기술에서는 문법 형태 낱낱의 의미·기능과 마찬가지로 언어의 질서와 체계에 대한 기술도 병행되어야 한다. 그래서 학습자들이 한국어 시간 표현 형태들끼리의 유사성 및 연관성을 포착하기가 쉽지 않다.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어교육의 시간표현요소로서 문법적 기술방법
up한국어교육의시간표현요소로서문법적기술방법
1. 서론
2. 국어학 연구와 한국어교육에서의 시간 표현
2.1 시제
2.2 상
3. 한국어 교재에서 시간표현요소의 기술
3.1 현재 형태의 기술
3.2 과거 형태의 기술
3.3 未來 형태의 기술
4. 한국어 교재에서 시간표현요소의 기술 원리
4.1 문법 기술의 일반화 정도: 구체적인 문법 기술
4.2 국어 문법연구의 활용범위: 논의과정이용
4.3 학습자 오류를 반영한 문법 기술
4.4 문법 교수요목의 나선형 제시
5. 시간 표현요소 기술의 실제
5.1 제1단계 : 단순 시제와 그 형태의 제시
5.2 제2단계: 시간 표현 형태를 사용하는 구체적 상황 제시
6. 結論(결론)
서지사항
1. 서론
이 글의 목적은 한국어 교재에서 시간 표현 요소를 효능적으로 기술하는 대책을 모색하는 데 있다아 시간 표현이란 국어 문법에서 다루어지는 시제와 상을 포함하는 범주를 말한다.
또한 대부분의 시간 표현 형태들은 과거, 현재, 未來라는 추상적이고 개념(槪念)…(To be continued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어교육의 시간표현요소로서 문법적 기술방법.hwp( 33 )
한국어교육의 시간표현요소로서 문법적 기술방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대부분 한국어 교재는 형태를 중심으로 문법을 기술한다. 하지만 그것만이 문법은 아닐것이다.한국어교육의 시간표현요소로서 문법적 기술방법에 대한 資料입니다. 이 글에서는 시제와 상을 표현하는 한국어 문법 형태들을 유의미한 한 범주로 보고 이들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한편 각 개별 형태들을 문장 생성의 단계에서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형태들이 일정한 체계를 갖지 못하고 산발적으로 분산되어 있기 때문일것이다 그것은 기초 범주라고 할 수 있는 시간 표현에서도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