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kn1135880 문학용어2 / 문학용어시(詩) ①귀글 시(言志) {書} 言志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1:23
본문
Download : kn1135880_문학용어2.hwp
Download : kn1135880_문학용어2.hwp( 65 )
문학용어시(詩) ①귀글 시(言志) {書}-言志 ②풍류가락 시(樂章) {荀...
문학용어시(詩) ①귀글 시(言志) {書}-言志 ②풍류가락 시(樂章) {荀子-者中聲之所止 ③받들 시(承也持也) {禮}-世子生三日卜士之吉者宿齊寢門外-負之시가(詩家) ①詩人 ②시인의 집시가(詩歌) ①시와 노래 {漢書}發文于-- ②언어의 속성 을 교묘하게 구사하여 표현한 문학의 한 형태시객(詩客) 시를 짓는 사람, 시인. {周賀}--往來頻시격(詩格) ①시를 짓는 법칙 ②시의 品格, 詩品 시경(詩境) 시의 흥취가 돋는 아름다운 environment시경(詩經) 오경(五經)의 하나. 中國 최고(最古)의 시집. 처음에는 단지 시라고만 일컫었음. 시경이라고 말한 것은 송(宋) 이후. 옛날 임금이 민정을 알기 위하여 채시(采詩)라는 관(官)을 두어서 각지의 가요를 채집시킨 것. 3천여편 중에서 공자가 305편을 뽑았다 함. 민요(國風)가 과반을 차지하고, 의식용(小雅, 大雅), 제전용(頌)의 노래도 있음. 漢代에 모정(毛亨;小毛公)이 전했으므로 모시(毛詩)라고도 함.시권(詩卷) 시를 모은 서적. [杜甫]--長留天地間시극(詩劇) 각본을 시로 써서 꾸민 연극.시낭(詩囊) 시의 초고를 넣는 주머니. [陸游]古錦--覓句忙시단(詩壇) 시인의 동지. 시인으로 이루어진 사회. [蘇軾]旋築--按酒兵시련(詩聯) 시로 된 주련(柱聯)시론(詩論) 시에 대한 평가, 논의 또는 그 책.시료(詩料) 시를 읊거나 짓는 재료. 시재(詩材). [楊萬里]松江是物皆--, 蘭漿穿湖卽水仙시맥(詩脈) 시에 있어서의 문장의 흐름과 줄기.시명(詩名) 시를 잘 지어서 얻는 명예. 시인으로서의 명예.시문(詩文) 시와 문장. 운문과 산문.시문서화(詩文書畵) 시문과 서화.시문학(詩文學) 시에 관한 문학.시반(詩伴) 서로 함께 시를 짓는 벗. 시붕(詩朋).시백(詩伯) 뛰어난 시인. 시종(詩宗.) [杜甫]平公今--, 秀發吾所羨시벽(詩癖) 시 짓기를 좋아하는 버릇.시부(詩賦) 시와 부(賦...
문학용어시(詩) ①귀글 시(言志) {書}-言志 ②풍류가락 시(樂章) {荀...
[인문사회] kn1135880 문학용어2 / 문학용어시(詩) ①귀글 시(言志) {書} 言志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사회 kn1135880 문학용어2 / 문학용어시詩 ①귀글 시言志 {書} 言志
설명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