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07:49
본문
Download : 가시리.hwp
14) 위 증즐가 태평성대 : ‘위’는 감탄사로 보고 ‘증즐가’는 악기의 구음, ‘태평성대’는 흥을 위한 것으로 본다. *^^* , 가시리인문사회레포트 ,
보고서 작성에 유용하게 활용이 되시길 빌며, 좋은 하루 보내시고 늘 행복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그러나 견해는 다양하다.
2. 작품 해설
이 노래는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것으로 소박하고 꾸밈없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별의 애절한 정한을 한없이 느끼게 하는 점에서 어떠한 이별 노래보다 가장 뛰어난 노래라 할 수 있다
1) 1연(기) : 원사로 처음 된다 아직 사랑이 식지 않은, 서로 나누어야 할 많은 사연을 남긴 채, 임은 나를 버리고 떠나려고 한다.보고서 작성에 유용하게 활용이 되시길 빌며, 좋은 하루 보내시고 늘 행복하시기 바라겠습니다.
4) 4연(결) : 임이 떠나는 것도, 떠나는 임을 막을 수 없다는 것도 이젠 기정사실, 다시 임의 마음을 돌이킬 수 없는 바에야 조용히 앉아 돌아 오시기만 빌겠다는 극히 소박한…(drop)
순서




Download : 가시리.hwp( 67 )
지은이와 창작시기가 밝혀지지 않은 작품으로 그 내용, 형식, 정조가 이조의 작품과 다른 점이 보여 고려가요로 다루고 있는 작품인 한국 이별시인 `가시리`의 노래말과 작품분석을 다루었습니다.
9) 셜온 님 : 서러운 임을, 괴로운 임을
10) 보내노니 : 보내옵나니, 보내드리오니
11) 가시 : 가시는 것처럼
12) 도셔 오쇼셔 : 돌아 오소서
13) 나
앙주동 : 간단하게 여흥구로 설명(說明)
정병욱 : 여음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한 후, 처음에 ‘나니나’ 같은 피리의 구음이 문헌상에 정착되면서 ‘나’으로 표기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Ⅰ. 서론
Ⅱ. 본론
1. 노랫말
2. 작품 해설
3. 가시리에 관한 논의
1) 명칭
2) 작품의 근원 문제
Ⅲ. 결론
8) 아니 올셰라 : 아니 올까 두렵습니다, 오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지극히 사랑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임을 떠나 보내야하는 슬픔, 이 간곡한 슬픔을 간결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 연에서는 정조가 원사에 그치지 않고 한가닥의 희망, 즉 기적을 바라는 애절한 기대마저 느끼게 하고 있다
2) 2연(승) : 원망과 기대가 한꺼번에 쏟아져 나온 1연에 이어 참담한 자신의 모습을 내려다 보고 앞으로 닥쳐올 외롭고 쓸쓸한 생활을 애소하고 있다
3) 3연(전) : 「님이 나를 버리고 떠난다만 내가 붙잡고 놓지 않으면 차마 뿌리치겠느냐만 그러다가 임의 마음을 상하게 할 것이 두려워 그럴 수도 없다」는 지극한 동양의 여심이 체념으로 나타난다.
설명
다. *^^*
레포트/인문사회
가시리
,인문사회,레포트
지은이와 창작시기가 밝혀지지 않은 작품으로 그 내용, 형식, 정조가 이조의 작품과 다른 점이 보여 고려가요로 다루고 있는 작품인 한국 이별시인 `가시리`의 노래말과 작품분석을 다루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