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의 유물론 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14:18
본문
Download : 마르크스의 유물론 사상.hwp
또 마르크스가 만약 이 시대 사람이라면 공산주의로 가는 과정이 아직 진행중인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무엇보다도 공산주의·사회주의란 말 자체로 거리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이 어느 한 부분도 예외없이 다 적용될 수 있는 과학적 체계를 가진 것으로 볼 수는 없었다.
어쨋거나 이번 학기 동안에 마르크스에 관한 강의를 들으면서 제일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부분은 그의 예언자적 형태였다. 물론 다분히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것, 즉 history(역사) 법칙주의적인 것이었지만, 그런 결정론은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었다.
물론 마르크스가 말한 history(역사) 의 진보과정은 그 어떤 누구도 등한시 할 수 없는, 또 누구에게나 막대한 influence(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체계적이고 가장 현실적인 기술이었다.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마르크스 , 마르크스의 유물론 사상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마르크스의 유물론 사상.hwp( 83 )
,인문사회,레포트
마르크스
마르크스의 유물론 사상




내가 마르크스에 관한 책을 처음 보았을 때 느꼈던 것은 어렸을 때라서 그랬었던 것인지는 모르지만 마르크스 자체의 빈곤한 삶과 아내와의 불화, 조국에서 불가능한 삶 등이었다.
누구라도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그러나 어느 누구도 그 메커니즘을 쉽게 說明(설명) 할 수는 없는 현실적 인간과 생산관계, 또…(To be continued )
다.
마르크스의 유물론 사상의 전반적인 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간단히 말하자면 월쉬의 history(역사) 철학에서 나온 것처럼, 과학적 예측과 history(역사) 적 예측에는 분명히 근본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그래서 마르크스의 이러한 결정론은 마르크스가 살았던 그 시대에만 적용되는 하나의 반동이며 하나의 돌파구였던 것으로만 생각이 든다.
선생님께서 언젠가 말씀하신 것처럼 자본주의가 아직 사라지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잘 연구하고 받아들이는데 있다는 것이 사실인 거 같다.
이런 작지만 가장 근본적이고 내적인 삶의 모습에서 내가 그 당시의 마르크스라면 나는 한시도 견디지 못하고 또 그처럼 나라를, 아니 이 세계를 뒤집어 놓고 싶었을 것이란 막연한 생각이 들었다. 그렇지만 결정론적 입장으로 인해 다른 어떤 history(역사) 적 사상도 발전해 나아갈 수 없게끔 제약해 온 것 같다.